📌 거시경제
-
트럼프 관세 여파로 글로벌 증시 급락, 안전자산(미국 국채·엔화·인버스 ETF) 선호 강화됨.
-
유가 60달러 붕괴와 정크본드 스프레드 확대, 경기침체 및 기업 부도 리스크 부각.
-
전기료 급등으로 산업현장 부담 심화, 심팩 공장 생산 철수 등 실물경제 충격.
📌 미국
-
트럼프, 중국과의 협상 중단 선언 및 추가 관세 경고. 미중 무역갈등 고조.
-
미국 내 자동차업체들, 고율 관세로 러스트벨트 경제 타격. 테슬라는 차량당 4000달러 비용 상승.
-
미국 기술주(애플, 테슬라, 엔비디아 등) 대거 하락. 마이크로소프트는 중국 JV 철수.
📌 중국
-
중국 정부, 금리 인하 및 유동성 공급 강화 시사. 대만은 22조 원 규모 금융지원책 발표.
-
중국 CATL, LFP 배터리 1000km 주행 신제품 개발 본격화. 글로벌 배터리 경쟁 심화.
-
미국의 대중 관세 강화에 중국 정부는 강경 대응, 위안화 평가절하 루머도 확산.
📌 아시아
-
일본, 추경 편성과 엔화 약세 유도 등 경기부양책 준비 중.
-
일본 총리, 트럼프에게 관세 면제 요청. 일본차 수출 타격 우려.
-
일본 Rapidus, 주요 글로벌 테크기업들과 첨단 반도체 생산 협의 진행.
📌 정치
-
EU,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 표결 예정. 무역전쟁 확산 조짐.
-
세종시 부동산 시장, 조기 대선 기대감으로 거래량 급증.
-
대통령 탄핵 정국 여파로 정치테마주 및 초소형주 급등, 대형주 하락과 양극화.
📌 정책
-
정부, 전세대출 보증 축소 및 인구절벽 대응 결혼 지원 정책(‘썸남썸녀’) 확대 추진.
-
재건축·재개발 관련 규제 완화 법안 계류 중, 업계 ‘눈치보기’ 모드 돌입.
-
전력비 폭등에 따른 산업계 고통 심화 → 정부의 전기요금 구조 개편 요구 확산.
📌 AI
-
마이크로소프트, 중국 JV 종료 후 AI 중심 글로벌 전략 재편.
-
메타, AI 모델 출시 및 데이터센터 확장에 대규모 투자. 중국 기업과의 기술 경쟁 본격화.
-
엔비디아 등 반도체 기업, AI 수요에도 불구 관세 리스크로 주가 하락.
📌 드론
-
이스라엘, 하마스 로켓공격에 드론으로 반격. 중동 지역 군사적 긴장 고조.
📌 양자
-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
📌 자동차
-
트럼프 관세 여파로 미 자동차 업계 피해, 공급망 재편 중. 국내 부품사 기회·리스크 병존.
-
현대차·도요타·닛산 등은 미국 현지 생산 확대. 앨라배마, 미시시피 등지에 집중.
-
일본, 자동차 산업 보호 위한 외교 총력전 전개.
📌 배터리
-
LG에너지솔루션, IRA 제외 시 실질 적자 구조. 소재 기술 및 GM 수주 증가로 차별화.
-
중국 LFP 배터리 기술 선도(1000km 주행 도전). 한국은 후발주자로 틈새 공략 중.
-
에코프로·엘앤에프·포스코퓨처엠 등 2차전지 소재기업주목.
📌 에너지
-
국제유가가 60달러 아래로 하락하며 경기침체 우려 반영. 미국 에너지 기업들도 리그카운트 축소.
-
전력비 급등으로 철강, 비철금속 등 에너지 집약 산업군에 구조조정 우려.
-
정유업체들의 수요 성장률 하향 및 주가 하락 지속.
📌 반도체
-
삼성전자, 메모리 가격 약세로 1분기 영업이익 -24.9% 예상.
-
SK하이닉스는 HBM 수요 폭증으로 영업이익 126.3% 증가 전망. HBM 3E 12단 공급 확대 수혜.
-
엔비디아 등 글로벌 반도체주는 무역긴장 여파로 주가 급락.
📌 전력설비
-
전기요금 단가가 3년 새 2.8배 상승하며 산업용 전력비 부담 확대.
-
포항 심팩공장, 전력비 부담으로 생산 철수 결정. 매출의 30%가 전기료로 소진됨.
-
산업계에서 전력요금 구조 개편 요구 증가.
📌 바이오
-
에이비엘바이오, GSK와 4조 원 규모 플랫폼 기술 수출 계약 체결.
-
리캡켐바이오·종근당 등도 항암제·심장질환 치료제 플랫폼 수출 진행.
-
미국은 의약품 관세 제외 대상 확대 검토 중이나, FDA 허가 지연 우려 존재.
📌 조선
-
미국의 대중국 견제로 인해 글로벌 해운사가 한국 조선소로 발주 집중. 한국 3월 수주 1위 탈환.
-
Huntington Ingalls, HD현대와 조선 협력 추진. Rapidus는 첨단 반도체 협력 논의 중.
-
도크 한계 극복 위한 인도 내 조선소 설립 가능성 제기됨.
📌 뷰티
-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
📌 탄소
-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
📌 원전
-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
📌 로봇
-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
📌 전염병
-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
📌 통신
-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
📌 물류
-
메르카도리브레(MercadoLibre), 브라질에서 물류 인프라 확대를 포함한 대규모 투자 진행.
-
투자 목적은 물류, 기술, 고용 확대에 집중.
📌 원자재
-
국제유가, 4년 만에 배럴당 60달러선 붕괴. 구리 가격도 1만 달러에서 8800달러대로 하락.
-
건설용 수입 자재(철강, 설비, 유리, 전기자재 등) 가격 급등. 고환율 영향으로 건설원가 상승.
📌 엔터
-
카카오엔터, 실적 부진 자회사 매각하며 구조조정 진행. 넥스트레벨·아이에스트 등 정리 완료.
-
영업이익 806억 원(+16.5%)으로 흑자 전환. 상장 재추진 가능성 거론.
📌 가상자산
-
비트코인, 1억1125만 원까지 급락하며 투자심리 급속 위축.
-
알트코인은 비트코인보다 더 큰 낙폭 기록. “알트장 종료” 비관론 확산.
📌 우주항공, 방산, XR, 게임
-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
댓글 없음: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