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-04-04

04월 04일 주식테마 내용정리(트럼프 관세, 삼성전자·SK하이닉스, AI·반도체·에너지·우주항공·방산·뷰티·가상자산 이슈 총정리)

거시경제, 미국, 중국, 아시아, 정치, 정책, AI, 드론, 양자, 자동차, 배터리

📌 거시경제

  • 트럼프의 고율 관세 정책 발표로 나스닥 -5.9%, 국제 유가 -6.6%, 미국 달러가치 폭락 등 글로벌 시장 전반 ‘검은 목요일’ 급락세.

  • 한국 GDP 최소 0.38% 감소 가능성 제기됨. 공급망 불안, 에너지 요금 인상, 소비 위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.


📌 미국

  • 트럼프, 중국·한국·베트남 등에 고율 관세 발표. 애플, 아마존, 마이크론 등 미국 빅테크 주가 폭락.

  • 트럼프 “수술 같은 정책이다…미국 경제 회복 중”이라며 관세 정당화. 관세율 산정 방식과 문서 불일치(25% vs 26%)로 논란.


📌 중국

  • 삼성전자·SK하이닉스, 중국 중심 범용 메모리 수요 급증으로 수익성 개선 기대.

  • 넥스틴, 중국 매출 의존(85%)에서 벗어나기 위해 HBM 진입 등 수익 구조 다각화 추진.



📌 아시아

  • 베트남산 제품에 46% 고율 관세 예정. 베트남 생산기지를 둔 한국 기업들의 타격 불가피.

  • 한국산 제품에도 25~26% 관세 부과 예고. 자동차, 가전, 의류 등 OEM 산업 피해 전망.


📌 정치

  • 4월 4일 오전, 헌법재판소 대통령 탄핵 선고 생중계 예정. 정치 불확실성 확대.

  • 탄핵 정국으로 인해 건설업계 등 일부 산업군 재택근무 전환.


📌 정책

  • 금융당국, 지분형 모기지 제도 6월까지 로드맵 마련 계획. 무주택자·청년의 대출 부담 완화 기대.

  • 한국은행과 금융당국, 부동산 대출 쏠림 심각 경고. 신용 공급의 절반이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다는 분석 제시.


📌 AI

  • 이엔셀, AI 소프트웨어 분야로 사업 영역 확장 추진. 기존 세포유전자치료(CGT) 한계를 보완하려는 전략.

  • 지브리풍 이미지 생성 기능 확산 → 생성형 AI 대중화 및 유료 구독자 2천만 명 돌파.


📌 자동차

  • 미국, 자동차에 고율 관세 예고. 북미와 아시아 생산기지 기반의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 생산·가격 전략 타격.

  • 캐나다, 미국산 자동차에 25% 맞대응 관세 발표. 북미 자동차 무역 갈등 심화.


📌 배터리

  • 관련 직접 언급 없음 (테마 제외 처리)


📌 드론 / 양자

  • 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 (테마 제외 처리)


에너지, 반도체, 전력설비, 로봇, 바이오, 전염병, 조선, 통신, 뷰티, 탄소, 원전

📌 에너지

  • GE Vernova, 천연가스 기반 데이터센터 추진. 에너지와 IT의 융합 시도.

  • FERC, Colonial Pipeline 변경안 보류. 업계 반발이 주요 원인.


📌 반도체

  • 넥스틴, 중국 매출 비중 85%에서 HBM 진출로 수익 다변화 추진.

  • 삼성전자·SK하이닉스, 메모리칩 가격 인상 논의. 수요 증가와 자연 감산 효과 영향.

  • 미국 관세 발표 후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9.8% 폭락. 마이크론 -16.1%, TSMC -7.6%.


📌 전력설비

  • 관련 내용 없음.


📌 로봇

  • 관련 내용 없음.


📌 바이오

  • AbbVie, R&D 및 M&A 비용 증가로 실적 전망 하향.

  • Amgen, 희귀질환 치료제 Uplizna FDA 승인. 연간 매출 13억 달러 기대.

  • 이엔셀, CGT 기반 사업에서 AI·건기식 등으로 사업 다각화 추진.


📌 전염병

  • 관련 내용 없음.


📌 조선

  • 관련 내용 없음.


📌 통신

  • Amazon, 위성 인터넷 프로젝트 'Kuiper' 추진. Starlink와 경쟁 구도 형성.


📌 뷰티

  • Hailey Bieber, 화장품 브랜드 Rhode 매각 검토. 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 평가.


📌 탄소

  • 관련 내용 없음.


📌 원전

  • 관련 내용 없음.


우주항공, 방산, 물류, 원자재, XR, 게임, 엔터, 가산자산

📌 우주항공

  • Amazon, 위성 인터넷 서비스 ‘Kuiper’ 첫 위성 발사 계획. Starlink와 경쟁 구도 형성.


📌 방산

  • 트럼프의 관세 정책과 무관한 섹터로 분류되어 시장에서 강세. 관세 영향이 덜해 회피성 수요 유입.


📌 물류

  • 관련 내용 없음.


📌 원자재

  • 관련 내용 없음.


📌 XR

  • 관련 내용 없음.


📌 게임

  • 관련 내용 없음.


📌 엔터

  • 트럼프 관세 영향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섹터로 상승. 내수 기반 중심으로 수급 유입.


📌 가상자산

  • 트럼프의 관세 발표 이후 암호화폐 관련주 약세 전환. 경제 불안정성 속 안전자산 선호 현상 반영.

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