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-04-02

04월 02일 주식테마 내용정리(美무역압박·TSMC·LG엔솔·OpenAI·챗GPT·로봇·바이오·방산·비트코인·애경산업)

■ 거시경제

  •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, 수입차에 25% 관세 부과 검토 → 세계 GDP 0.6% 감소 가능성 분석 제기 (일본 니혼게이자이 보도).

  • 미국 행정부, 반도체 및 배터리 보조금 축소 가능성 시사 → SK온, 미국 배터리 재활용 공장 프로젝트 중단.

  • 3월 미국 ISM 제조업 지수 49.0으로 3개월 만에 50 하회 → 신규주문 및 고용 지표 모두 예상치 하회.


■ 미국

  • 미국 무역대표부, 한국 등 동맹국 무기 수입 시 기술이전 요구를 ‘불공정’이라 지적하며 압박 강화.

  • 백악관, 관세는 ‘발표 즉시 발효’ 입장 → 무역규제 강화 신호.

  • 트럼프, 스테이블코인 규제 및 육성 계획 강조 → 미국 내 암호화폐 제도화 흐름 반영.


■ 중국

  • 중국, 대만 독립 움직임에 강경 대응 → 포위 군사훈련 재개.

  • 미국과 대만의 밀착 및 반중 정서 확산에 대한 군사적 대응 성격.

  • TSMC 중심 대만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 확대 우려.



■ 아시아

  • 네이버클라우드, 사우디·UAE 등 중동 및 아시아 시장 본격 진출 → 매출 16.8% 증가.

  • 중동·아시아 지역의 공공 및 AI 수요 기반 수주 확대 기대.


■ 정치

  • 프랑스 극우 정치인 르펜, 유죄 판결로 대선 출마 금지 → 트럼프는 이를 ‘정치적 박해’로 비판.

  • 미국 대선 관련 정치 테마주, 유럽 정치 불확실성 이슈로 연결 가능성.


■ 정책

  • 금융당국, 서울 중심 대출 증가세에 따라 대출 규제 강화 시사.

  • 서울시, 공사비 기준 12개 품목 우선 마련 추진 → 중소건설사 수익성 개선 기대.

  • 산불 진화용 임도 사업, 지방재정 이양 후 예산 집행 지연 문제 발생 → 산불 대응력 저하 우려.


■ AI

  •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 대중화 → 사용자 수 급증, 콘텐츠 산업 변화 기대.

  • OpenAI, 소프트뱅크 등으로부터 400억 달러 투자 유치 → 기업가치 3,000억 달러 도달.

  • 아마존, Nova Act AI 출시 및 Alexa 개편 발표 → AI 플랫폼 경쟁 본격화.


■ 드론

  • 직접적인 드론 관련 내용은 파일 내에 없음해당 테마 제외


■ 양자

  • 직접적인 양자컴퓨팅/기술 관련 내용은 파일 내에 없음해당 테마 제외


■ 자동차

  • 미국의 '이중관세' 강화 시 자동차 산업 수출 타격 가능성 제기.

  • 트럼프, 수입차 25% 관세 부과 검토 발언 → 글로벌 자동차 업계 리스크 부각.

  • 현대차, 미국 수출물량 가격 인상 전망 → 수익성 개선 기대.


■ 배터리

  • 미국 IRA 정책 수혜 및 생산 거점 확보 위해 LG에너지솔루션, GM 합작법인 지분 인수 추진.

  • SK온, 미국 내 배터리 재활용 공장 프로젝트 중단 → 보조금 축소 리스크 반영.

  • 미국 무역정책 변화 시, 한국 배터리 기업의 베트남·멕시코 생산기지 이전 가속화 가능성 언급.


■ 에너지

  • 미국 트럼프 행정부, 신규 석탄 광구 임대 추진 → 화석연료 생산 확대 기조.

  • 미국 LNG 수출, 3월 기준 역대 최고치 기록 → 유럽향 비중 70% 차지.

  • Dow Inc와 X-energy, 텍사스에 소형 원자로(SMR) 건설 신청 → 저탄소 에너지 수요 대응.


■ 반도체

  • 미국 상무장관, 반도체법 보조금 보류 가능성 시사 → 보조금 수혜 불확실성 확대.

  • TSMC, 67조 원 규모 2나노·1.8나노 생산라인 투자 → 글로벌 점유율 67% 유지.

  • 삼성전자, 파운드리 경쟁 심화 속 중견업체들의 생존 압박 심화.


■ 전력설비
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제외


■ 로봇

  • 한국, 1000명당 로봇 도입 대수 1012대로 세계 최고 → 저숙련 제조업 일자리 일부 감소.

  • 25~34세 청년층의 고용·임금은 오히려 개선 → 고숙련 전환 기회.

  • 자동화·로봇기술 기반 산업/ETF에 대한 투자 수요 증가.


■ 바이오

  • Isomorphic Labs, AI 기반 신약개발로 6억 달러 투자 유치 → 2025년 말 임상시험 진입 목표.

  • Corcept Therapeutics, 난소암 치료제 임상 성공 발표 → 주가 89% 급등.

  • AstraZeneca, Merck, 경구형 PCSK9 억제제 개발 중 → 시장 규모 40억 달러 예상.


■ 전염병
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제외


■ 조선
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제외


■ 통신
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제외


■ 뷰티

  • 애경그룹, 애경산업 매각 추진 → 예상 매각가 6,000억 원, 브랜드 재평가 가능성.

  • 애경그룹은 적자 누적과 재무구조 개선 목적으로 자산 매각 추진.

  • 매각 이후 화학·항공 중심의 사업 재편 가능성 언급.


■ 탄소
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제외


■ 원전

  • Dow Inc와 X-energy, 미국 텍사스에 소형 원자로 건설 추진 → 저탄소 에너지 수요 대응 목적.


■ 방산

  • 중국, 대만 독립 움직임에 강경 대응 → 포위 군사훈련 재개.

  • 대만·TSMC 공급망 관련 지정학 리스크 확대 → 방위산업 관련주 단기 주목 가능성.

  • 미국 DARPA, AI 칩 및 광네트워크 기술 개발 계약 체결 → 국방 기술 투자 확대 흐름.


■ 원자재

  • 금·은·구리 ETF 수익률 10~28% 상승 → 안전자산 선호 및 산업 수요 증가 영향.

  • 미중 무역 긴장 및 금리 인하 기대감 → 원자재 관련 ETF 및 기업 실적 회복 기대.

  • AI·전기차·반도체 산업 확대 → 원자재 수요 증가 요인으로 작용.


■ 게임

  • Roblox, Google과 협력해 게임 내 동영상 광고 도입 → 광고 매출 확대 전략.

  • 수익 모델 다변화 및 Z세대 타깃 콘텐츠-광고 융합 가속화.

  • 구글 협업을 통해 광고 네트워크 확장 기대.


■ 가상자산

  • 비트코인 시세 급등 후 급락 → 단기 투자자 리스크 확대.

  • Circle, 6월 IPO 추진 → 스테이블코인 시장 제도화 기대감.

  • 암호화폐 시장, 1분기 시총 18% 감소 → 도지코인 -47%, 이더리움 -45%.


■ 우주항공
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제외


■ 물류
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제외


■ XR
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제외


■ 엔터

(해당 테마 관련 내용 없음)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