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-04-10

04월 10일 주식테마 내용정리(SK하이닉스·기아·애플·트럼프 관세·가상자산·우주·에너지·조선·헬스케어 이슈 총정리)

거시경제, 미국, 중국, 아시아, 정치, 정책, AI, 드론, 양자, 자동차, 배터리

📌 거시경제

  1. 트럼프, 보복 안한 국가에 관세 90일 유예
    → 중국에는 즉시 125% 관세 부과, VIX(공포지수)는 52 → 33으로 급락하며 시장 긴장 완화.

  2. 미국 장단기 금리차 정상화 흐름
    → 10년물-2년물 금리차 +0.423%p로 확대, 침체 우려 완화 조짐.

  3. 고환율 지속… 수출입 기업 이중고
    → 원/달러 1,484원 돌파. 수입 기업엔 원가 압박, 외화채무 부담 가중.


📌 미국

  1. 애플, 관세 리스크에 시총 2위 하락
    → 중국 의존도 높아 관세 직격탄, 반면 마이크로소프트는 피해 적음.

  2. 미 CEO들 “트럼프 관세, 경기 침체 우려”
    → JP모건, 블랙록 등 CEO들 공개 반기. “생산망 붕괴·물가 폭등” 경고.

  3. 핀테크·기술주, 관세 유예에 강세 전환
    → Affirm 등 급등, Nasdaq 12% 상승, 테슬라도 강한 반등.


📌 중국

  1. 위안화 절하로 ‘환율전쟁’ 맞불
    → 위안화 환율 7.2 돌파, 대중국 수출 경쟁력 강화 시도.

  2. 대중국 125% 관세 즉시 발동
    → 트럼프 “보복하면 두 배로” 발언, 글로벌 공급망 충격.



📌 아시아

  1. 기아, 美·中 관세 대응 전략 발표
    → 중장기 판매목표 하향(430만 → 419만대), 픽업트럭·PBV 강화로 수익성 전환.

  2. SK하이닉스, D램 점유율 1위 등극
    → HBM 수요 급증으로 삼성 추월. 고사양 AI 메모리 수요 확대.


📌 정치

  1. 트럼프, 관세 정책으로 정치적 파장 확대
    → 대중 관세 강화로 포퓰리즘 정책 논란, 동맹국과의 공동대응 시사.

  2. 韓 총수 3인, 글로벌 억만장자 모임 참석
    → AI·친환경·모빌리티 협력 논의, 트럼프 관세 리스크 대응 공조 논의.


📌 정책

  1. 부동산PF 규제 강화, 벤처투자 확대 유도
    → 증권사 PF 투자 제한, 신성장 분야 중심으로 자본 유도 정책.

  2. 전월세 신고 의무화, 6월부터 과태료 시행
    → 30일 내 미신고 시 최대 100만원 부과.


📌 AI

  1. SK하이닉스, HBM3E 등 고성능 AI 메모리 시장 주도
    → AI서버용 수요 증가로 33년 만에 D램 점유율 1위.

  2. 알파벳, AI칩 ‘Ironwood’ 공개 및 750억 달러 투자
    → 서버·AI 인프라 투자 확대, 엔비디아도 수출제한 해제 기대감.


📌 자동차

  1. 기아, 관세 리스크 대응해 판매 목표 하향
    → 미국 픽업·PBV 신차 확대 전략, 수익성 중심 구조 재편.

  2. 베이조스 vs 머스크, 전기차 경쟁 격화
    → 아마존(리비안) vs 테슬라 대립, AI·우주 분야까지 확전.


📌 배터리

  1. IRA 축소·관세 리스크로 韓배터리 신용도 흔들
    → LG·SK 등 신용등급 하락 우려, 수출 경쟁력 약화.

  2. NICE “2차전지 산업, 관세로 신용도 하락 가능”
    → 반도체 산업과 함께 보호무역 직격탄.


※ 드론, 양자 관련 내용은 파일 내 존재하지 않아 제외했습니다.


에너지, 반도체, 전력설비, 로봇, 바이오, 전염병, 조선, 통신, 뷰티, 탄소, 원전

 

📌 에너지

  1. Occidental Petroleum, 고유가 수혜로 실적 개선
    → 유가 하락 우려에도 강세 유지.

  2. 미국 정유사들, 내수 원유 처리 확대 주저
    → 운송비와 인프라 부담이 원인.

  3. CF Industries, JERA·Mitsui와 저탄소 암모니아 설비 구축
    → 세액공제 혜택 기반, 저탄소 에너지 사업 확대.


📌 반도체

  1. SK하이닉스, 글로벌 D램 점유율 1위 탈환
    → HBM 수요 폭증에 따른 선제 투자로 33년 만에 삼성 추월.

  2. 엔비디아, 중국 수출 제한 철회로 주가 급등
    → AI칩 중심의 투자심리 회복에 영향.

  3. 테크윙, 환차손에 부채부담 가중
    → HBM 검사장비 사업 중이나, 환율 리스크 심화.


📌 조선

  1. HD현대, 조선업계 중 유일 ‘A+’ 신용등급 유지
    → 수주잔량 확대와 수익성 개선 기반.

  2. 한화오션, ‘BBB+’ 신용등급 유지
    → 조선 빅3 내 격차 확대.


📌 바이오

  1. 트럼프, 의약품 수입에 관세 예고
    → Eli Lilly, Pfizer 등 주요 제약사 주가에 하방 압력 가능성.

  2. Medicare Advantage 지불금 인상
    → 헬스케어 관련주 전반 강세.

  3. Transcarent, Accolade 인수(6.2억 달러)
    → 디지털 헬스케어 플랫폼 강화 목적.


📌 전력설비 / 로봇 / 전염병 / 통신 / 뷰티 / 탄소 / 원전

첨부파일 내 해당 테마에 대한 직접적 언급이나 관련 내용 없음.
따라서 이 테마들은 제외합니다.


우주항공, 방산, 물류, 원자재, XR, 게임, 엔터, 가산자산

📌 우주항공

  1. 아마존, 위성 인터넷 'Project Kuiper' 본격화
    → SpaceX의 스타링크와 본격 경쟁 돌입.


📌 물류

  1. 가양동 CJ부지, 지식산업센터+상업지로 개발 착공
    → 물류창고 포함된 대규모 복합시설로, 분양 리스크 존재.

  2. 미국 정유사, 물류 인프라 부담으로 내수 처리 확대 주저
    → 원유 운송비가 생산성에 부정적 영향.


📌 가상자산

  1. 비트코인 -3%, 이더리움 -8%, XRP -5% 이상 급락
    → 트럼프 관세 발언 이후 투자심리 위축.

  2. MSTR 주가 11% 급락, 코인베이스도 하락
    → ETF 영향력 둔화, 시장 전반 약세.

  3. 트럼프의 관세 강화 언급과 미·중 갈등 재점화가 주요 요인
    → 가상자산 전반에 투자심리 악화.


📌 방산 / 원자재 / XR / 게임 / 엔터

첨부파일 내 관련 내용 없음. 해당 테마는 제외.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