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-04-03

04월 03일 주식테마 내용정리(트럼프 관세·AI·무인기·SMR·반도체·조선·LNG·송도 바이오·강남 부동산·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)

거시경제, 미국, 중국, 아시아, 정치, 정책, AI, 드론, 양자, 자동차, 배터리

📌 거시경제

  1. 트럼프 관세 리스크로 안전자산 선호 증가

    • 금값 1분기 17% 상승, 美 10년 국채 금리 연중 최저

    • 투자자금 국채·현금으로 이동, 증시 불안 심화

  2. 미국 관세정책이 글로벌 GDP 4% 감소시킬 가능성

    • 무역위축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우려

  3. 중앙은행들 긴장 속 금리·물가 대응

    • 美 연준, 인플레 리스크에 금리 동결 기조 유지

    • ECB·한은도 안정적 물가 유지 강조


📌 미국

  1. 트럼프 관세 정책이 정치·경제 리스크로 확대

    • 대선 재출마 시사와 관세 공약, 글로벌 무역 갈등 우려

  2. 정치 불확실성 심화

    • 위스콘신 보선에서 공화당 후보 패배, 하원서 민주당과 격차 축소

    • 트럼프 진영 분열 조짐

  3. 고용시장 호조

    • ADP 고용 예상치 상회, 고용지표는 강세 유지


📌 중국

  1. 자국 기업의 대미 투자 제한 조치

    • 트럼프와 협상에서 레버리지 확보 목적

    • 미국과의 긴장 관계 반영

  2. 중국산 저가 철강으로 후판 가격 하락

    • 조선업 수혜, 철강업 실적 부담

2025-04-02

04월 02일 주식테마 내용정리(美무역압박·TSMC·LG엔솔·OpenAI·챗GPT·로봇·바이오·방산·비트코인·애경산업)

■ 거시경제

  • 미국 트럼프 전 대통령, 수입차에 25% 관세 부과 검토 → 세계 GDP 0.6% 감소 가능성 분석 제기 (일본 니혼게이자이 보도).

  • 미국 행정부, 반도체 및 배터리 보조금 축소 가능성 시사 → SK온, 미국 배터리 재활용 공장 프로젝트 중단.

  • 3월 미국 ISM 제조업 지수 49.0으로 3개월 만에 50 하회 → 신규주문 및 고용 지표 모두 예상치 하회.


■ 미국

  • 미국 무역대표부, 한국 등 동맹국 무기 수입 시 기술이전 요구를 ‘불공정’이라 지적하며 압박 강화.

  • 백악관, 관세는 ‘발표 즉시 발효’ 입장 → 무역규제 강화 신호.

  • 트럼프, 스테이블코인 규제 및 육성 계획 강조 → 미국 내 암호화폐 제도화 흐름 반영.


■ 중국

  • 중국, 대만 독립 움직임에 강경 대응 → 포위 군사훈련 재개.

  • 미국과 대만의 밀착 및 반중 정서 확산에 대한 군사적 대응 성격.

  • TSMC 중심 대만 반도체 공급망 리스크 확대 우려.

2025-04-01

04월 01일 주식테마 내용정리(트럼프 관세·AI반도체·테슬라·KT·LS일렉트릭·천연가스·TSMC·라피더스·Amazon·Estee Lauder·방산조선주·Corcept·화웨이)

거시경제, 미국, 중국, 아시아, 정치, 정책, AI, 드론, 양자, 자동차, 배터리

거시경제

  1. 중소기업 대출 문턱 상승 → 자금난·이자 부담 증가 → 내수 소비·고용 위축 우려.

  2. 소비자 60% 이상이 최저임금만 수령 → 청년층 소비 위축 → 내수 회복 지연.

  3. 금리 불확실성과 경기 둔화 우려로 채권형 ETF에 ‘머니무브’ 진행 중.


미국

  1. 트럼프, 4월 2일 국가단위 관세 발표 예고 → 글로벌 무역 불확실성 확대.

  2. 미국 기술주 중심 빅테크 매도 확대 → 관세 이슈로 '매그니피센트7' 숏포지션 증가.

  3. 연준 위원들, 관세가 인플레이션 자극 우려 표명 → 금리 인하 지연 가능성 시사.


중국

  1. 화웨이, 2024년 순익 -28% 기록 → 자동차 솔루션 성장에도 수익성 악화.

  2. 중국 인민은행, 신중한 통화정책 유지 중 → 7일물 Repo 금리 2.25%로 소폭 인하.

2025-03-31

03월 31일 주식테마 내용정리(트럼프 관세·AI·반도체·에너지·건설·바이오·TSMC·한화오션·유한양행·OpenAI·SKT·현대차)

거시경제, 미국, 중국, 아시아, 정치, 정책, AI, 드론, 양자, 자동차, 배터리

거시경제

  • 미국 1년 내 경기침체 확률 30%로 상승, 하이일드 스프레드 확대

  • 2월 미 근원 PCE 전년비 2.8% 상승, 시장 예상치 상회해 인플레이션 우려 확대

  • 금값 상승세 지속, 골드뱅킹 잔액 1조 원 돌파 눈앞


미국

  • 트럼프, 러시아산 원유·자동차·철강 제품에 최대 50% 관세 경고

  • 미 증시 급락 (나스닥 -2.7%, S&P -1.9%), 테슬라·애플·MS 모두 큰 폭 하락

  • 공매도 전면 재개, 시장 변동성 확대 우려


중국

  • 중국 재정부, 4대 국유은행 증자 참여 (5,200억 위안 규모)

  • 화웨이, 2024년 매출 8600억 위안 기록, AI 및 신사업 다각화 성과


아시아

  • TSMC, 일본 구마모토 공장 장비 반입 속도 조절, 관세 리스크와 수요 부진 영향

  • 한화오션, 폴란드 잠수함 8조 원 규모 오르카 프로젝트 수주 활동 진행

2025-03-28

03월 28일 주식테마 내용정리 (SK하이닉스·삼성전자·현대차·SK가스·레인보우로보틱스·HLB·HD현대힘스·드론·탄소중립·반도체·전력설비·조선·바이오·방산·게임·원자재 이슈 총정리)

거시경제, 미국, 중국, 아시아, 정치, 정책, AI, 드론, 양자, 자동차, 배터리

거시경제

  • 시중은행이 가계대출 급증 억제를 위해 주택담보대출 금리를 인상.

  • 정부는 대출 증가세에 대응해 추가 규제 카드를 준비 중.

  • 고정금리에서 변동금리로 수요 이동, 소비자 금리 리스크 확대 우려.


미국

  • 미국은 우크라이나 광물 개발권을 독점하려는 계획을 추진.

  • IRA 대응을 위해 현대차가 조지아주에 연 30만 대 규모 전기차 공장 준공.

  • 미국의 수입차 관세(25%) 부과 계획에 따라 일부 자동차 기업 수혜 기대.


중국

  • 중국은 AI·전기차 기술 자립과 내수 강화 전략을 보아오포럼에서 천명.

  • 국유기업에 CK허치슨과의 신규거래 중단 명령을 내려 외자 유입 통제 강화.

  • BMW·벤츠·퀄컴 CEO 회동 추진으로 해외 기업과 관계 회복 시도.


아시아

  • SK가스, 세계 최초 LNG-LPG 복합발전소 울산에서 가동 시작.

  • 일본 보험사 주가 상승은 자국 금리 인상 기대감 반영.

2025-03-27

03월 27일 투자뉴스 내용정리(국민연금 개정·트럼프 관세·삼성전자·LG·몰리브덴·테슬라·넷플릭스·로봇·조선·반도체·가상자산)

거시경제, 미국, 중국, 아시아, 정치, 정책, AI, 드론, 양자, 자동차, 배터리

1. 거시경제

  • 미국 경기침체 확률 25%로 유지, FOMC 위원 구성상 중립~매파 우세.

  • ECB, 인플레 2% 안정 확인 및 독일-이탈리아 금리 스프레드 1.10%p.

  • 신용시장 기준, 미 10년-2년 금리차 +0.333%p로 스티프닝.


2. 미국

  • 트럼프, 외국산 자동차에 25% 관세 부과 발표, 4월 2일 발효 예정.

  • 나스닥 -2%, 테슬라 -5.5%, 엔비디아 -5.9% 급락, 기술주 급락세.

  • 미국 FAA, 항공 관제사 2천 명 채용 발표로 항공안전 강화.


3. 중국

  • 중국 AI 관련 기업 일부, 미 상무부 수출 블랙리스트 등재.

  • 중국 정부, 엔비디아 반도체 칩 수요 억제 조치 보도됨.


4. 아시아

  • 일본은행 정책 관련 언급 없음, 한국은행 금리동결 유지.

  • 한국 10년물 국채금리 2.85%, 장단기 금리차 0.233%p로 소폭 확대.

2025-03-26

03월 26일 투자뉴스 내용정리(테슬라와 BYD, 비트코인·AI·LNG·반도체·자율주행·구리·한화시스템·메타버스까지 총정리)

거시경제, 미국, 중국, 아시아, 정치, 정책, AI, 드론, 양자, 자동차, 배터리

1. 거시경제

  • 미국 3월 소비자신뢰지수 급락
    ▶ 소비자 기대지수는 12년 만에 최저치로 하락했으며,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재확산됨.

  • 국제 구리 가격 사상 최고치 경신
    ▶ 미국과 EU의 전력망 확장 및 트럼프 정부의 관세 부과 예상에 따른 사재기 수요 급증.


2. 미국

  • GameStop, 순이익 발표 후 비트코인 투자 선언
    ▶ 암호화폐 시장 확대 기대.

  • AT&T, Lumen 소비자 광섬유 사업 인수 추진
    ▶ 5.5억 달러 규모의 인수 협상 중.

  • Waymo, 2026년 워싱턴 D.C. 자율주행 서비스 도입 계획
    ▶ 알파벳(구글 자회사)의 로보택시 경쟁 본격화.


3. 중국

  • 중국 상무장관, 보잉에 협력 요청
    ▶ 항공 및 미중 경제협력 강화 시도.

  • BYD, 테슬라 제치고 매출 1위
    ▶ 하이브리드 기술 및 배터리 경쟁력으로 전기차 시장 지형 변화.

  • Merck, 中 Hengrui와 20억 달러 신약 공동개발
    ▶ 미중 바이오 협력 본격화.


4. 아시아

  • 현대차그룹, 미국에 31조원 투자 발표
    ▶ 한국 기업의 대규모 대미 투자. 자율주행·배터리 중심의 전략적 대응.

  • 삼성전자 반도체, 재고 증가세
    ▶ 업황 회복에도 스마트폰·디스플레이 수요 둔화로 재공품 증가.


5. 정치

  • 러시아-우크라이나, 흑해 항로 안전 합의
    ▶ 미국 중재로 무력 사용 배제, 해상 안전 확보.

  • 하나금융 함영주 회장, 대법원 판결 앞둔 사법 리스크
    ▶ 채용비리 사건이 지배구조 변수로 작용.


6. 정책

  • 임대차 2법 개편 논의 본격화
    ▶ 계약갱신청구권·전월세상한제 관련 제도 개편 방향 검토 중.

  • 광역버스 4개 노선 신설(고양·용인·평택·양주)
    ▶ 수도권 교통 개선 정책 일환.


7. AI

  • 알리바바 의장, AI 데이터센터 버블 경고
    ▶ 수요 대비 공급 과잉 현상 지적.

  • LG유플러스, AI 중심 사업 구조 전환 가속화
    ▶ 그룹 차원의 AI 전략 강화.

  • 애플, Siri AI 업그레이드 2026년으로 연기
    ▶ 생성형 AI 경쟁력 미흡으로 발표 연기.


8. 드론

관련 내용 없음.


9. 양자

  • 엣지파운드리, 한화시스템과 ‘퀀텀레드’ 전용권 계약
    ▶ 열화상 카메라 브랜드 사업 강화,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.

  • 구글·마이크로소프트, 양자기술 개발 진전
    ▶ 미래 성장을 위한 핵심 기술 경쟁 가속.


10. 자동차

  • 테슬라, 유럽 점유율 42.6% 감소
    ▶ BYD 등 경쟁업체 부상으로 수요 둔화.

  • Volkswagen, Valeo·Mobileye와 자율주행 협업
    ▶ 유럽 자동차업계 기술 경쟁력 강화.


11. 배터리

  • 현대차, 배터리 포함 31조 대미 투자
    ▶ 전기차 생태계 확장 및 미국 관세 리스크 대응.

  • BYD, 테슬라 추월 요인으로 배터리 기술 부각
    ▶ 하이브리드 및 배터리 기반 실적 견인.


에너지, 반도체, 전력설비, 로봇, 바이오, 전염병, 조선, 통신, 뷰티, 탄소, 원전

에너지

  • Shell, Venture Global과 LNG 계약 중재 진전
    ▶ 계약 불이행 및 물량 배분 갈등으로 인해 중재가 진행되었으며, CEO는 진전을 언급함.
    ▶ 에너지 공급망 안정화와 LNG 관련 투자심리 개선이 기대됨.


반도체

  • 삼성전자, 반도체 재고 증가세
    ▶ 업황 회복에도 불구하고 실질 재고인 재공품·반제품이 증가하고 있음.
    ▶ 스마트폰·디스플레이 수요 둔화로 납품 지연이 발생했으며, 1분기 실적 부담 요소로 작용.

  • 미국 반도체 업종,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하락
    ▶ 마이크론 2.8%, 엔비디아 0.6%, TSMC 0.1% 하락.
    ▶ 금리 하락에도 불구하고 업종 전반적으로 조정 흐름을 보임.


전력설비

  • 국제 구리 가격 상승, 전력망 수요 반영
    ▶ 미국·EU의 전력망 현대화를 위한 수요 증가가 구리 가격 상승 원인 중 하나로 작용.
    ▶ 런던금속시장(LME) 기준 톤당 1만116달러까지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함.


바이오

  • Merck, 中 Hengrui와 심혈관 치료제 공동개발 계약 체결
    ▶ 20억 달러 규모의 협력 계약으로 미국과 중국 간 바이오 협력이 강화됨.
    ▶ 헬스케어 분야의 전략적 제휴 사례로 평가됨.


※ 아래 테마는 첨부파일 내에서 관련 내용이 확인되지 않아 제외되었습니다:

  • 로봇

  • 전염병

  • 조선

  • 통신

  • 뷰티

  • 탄소

  • 원전


우주항공, 방산, 물류, 원자재, XR, 게임, 엔터, 가산자산

방산

  • 엣지파운드리, 한화시스템과 열화상 카메라 ‘퀀텀레드’ 전용실시권 계약
    ▶ 방산·산업용 열화상 수요 증가에 따라 퀀텀레드 브랜드 전용 권한 확보.
    ▶ 한화와 협업을 통한 국방 센서 매출 확대 및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.


원자재

  • 국제 구리 가격, 사상 최고 수준 경신
    ▶ 런던금속시장에서 톤당 1만116달러까지 상승.
    ▶ 미국·EU 전력망 확장과 미국 관세 예상에 따른 사재기 수요가 주요 원인.


XR

  • Napster, 메타버스 음악 공간 플랫폼 전환
    ▶ Infinite Reality에 2.07억 달러에 인수됨.
    ▶ 가상공연, 온디맨드 스트리밍 등 메타버스 기반의 새로운 사용자 경험 제공 계획.


가상자산

  • GameStop, 비트코인 투자 계획 발표
    ▶ 1.31억 달러 순이익 발표 후 자산 다변화 차원에서 비트코인 진출 선언.

  • Ripple, SEC와 5천만 달러에 합의
    ▶ 규제 리스크 해소로 XRP 관련 투자심리 회복 기대.

  • BlackRock, 유럽 첫 비트코인 ETP 출시
    ▶ 코인베이스·BNY멜론과 협력하여 기관 투자자 대상 상품 출시.


※ 다음 테마는 첨부파일 내 관련 내용이 없어 제외됩니다:

  • 우주항공

  • 물류

  • 게임

  • 엔터

2025-03-25

03월 25일 투자뉴스 내용정리(현대차·테슬라·한화·LG·파마리서치·사조·우주항공·AI·디지털화폐·전기차·반도체·바이오·ETF·물류·방산·포스코·뷰티)

거시경제, 미국, 중국, 아시아, 정치, 정책, AI, 드론, 양자, 자동차, 배터리

1. 거시경제

  • 글로벌 PMI 지표 차별화: 미국 3월 제조업 PMI는 예상치 51.7보다 낮은 49.8, 유로존은 예상치 48.2를 웃도는 48.7 기록.

  • 금리 및 채권시장 동향: 미국 10년물 국채금리 4.33%, 2년물 4.03%로 장단기 금리차 +0.30% 유지. 미국 경기침체 확률은 **25%**로 변동 없음.


2. 미국

  • 트럼프의 관세 유화 발언: 상호 관세 일부 면제 가능성 언급에 나스닥 2.3% 상승, 테슬라 11.9% 폭등.

  • 기업 활동: 현대차, 미국에 210억 달러(약 29조 원) 투자 발표. 트럼프가 일부 관세 면제 가능성도 시사함.


3. 중국

  • 샤오미, 전기차 진출 본격화: 55억 달러 유상증자 추진. EV 사업 확대 목적.

  • 중국-애플 투자 협의: 중국 정부와 애플이 경제 협력 강화를 위한 투자 확대 논의 중.



4. 아시아

  • 일본은행 정책 변화 시사: 일본은행 총재, 국채 매각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고 발언.

  • 한국 기업 영업익 컨센서스: KOSPI 249.3조원, 자동차 업종 27.6조원 예상. 한국 3년 국채 금리 2.59%, 10년 국채 2.81%.


5. 정치

  • 트럼프의 관세 유화 움직임: 4월 2일 관세 적용 전 다수 국가 면제 혹은 경감 가능성 언급. 글로벌 교역 안정 기대.


6. 정책

  • 디지털 원화 시범 시행: 3월 25일부터 일반 국민 대상 디지털 화폐 시범 결제 개시. 편의점·카페 등 사용 가능.

  • 국민연금 개혁 반발: ‘더 내고 더 받기’안에 대해 청년층 중심으로 반발 확산. 정치권 일부도 노선 전환 조짐.


7. AI

  • OpenAI 글로벌 확장: 소프트뱅크·오라클과 5000억 달러 규모 프로젝트 추진.

  • LG 엑사원 딥: 추론형 AI 모델로 고성능·저비용 경쟁력 입증. 국산 AI 기술에 대한 글로벌 주목.

  • SK텔레콤 AI 전략: 신사업 확장 대비해 전략·재무통 인사 배치, AI에이전트 사업 박차.


8. 양자

  • 아이온큐 상승 언급: 미국 증시 관련 요약에서 아이온큐 +17.3% 급등 언급. 양자컴퓨팅 관련 종목으로 간접 노출.


9. 자동차

  • 현대차 미국 투자: 210억 달러 투자, 철강·부품·EV 등 전방위 확장. 루이지애나 제철소 포함.

  • 테슬라 주가 급등: 중국용 자율주행 기능 출시 예고에 10% 상승. 관세 이슈로 40% 저점에서 반등.

  • Ford F-150 조사: 기어 변속 오류 관련 조사(NHTSA) 진행 중.


10. 배터리

  • 현대차 EV 투자 확대: 루이지애나 제철소 외에도 전기차 인프라 구축 포함된 투자 계획 진행.

  • SK지오센트릭 사업 축소: 친환경 사업에서 플라스틱 재활용 중단. 단기 수익성 중심 전략 전환.



에너지, 반도체, 전력설비, 로봇, 바이오, 전염병, 조선, 통신, 뷰티


1. 에너지

  • 현대차그룹, 미국 210억 달러 투자 계획 발표
    미래 산업 및 에너지 분야에 63억 달러 투자 포함됨.
    루이지애나 전기로 제철소 건설 계획도 함께 추진.

  • 미국, 나이지리아산 제트유 수입량 2년래 최고치
    항공 수요 증가와 여름철 소비 확대 기대와 관련.
    무역구조 변화 가능성 언급됨.


2. 반도체

  •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 3.0% 상승
    → 마이크론 2.3%, 엔비디아 3.1%, TSMC 2.5% 상승.
    → 반도체 업종 중심의 미국 기술주 반등 흐름 반영.


3. 바이오

  • Eli Lilly, 비만 치료 알약 임상 결과 발표 예정
    → 세마글루타이드 경쟁 후보물질.
    1500억 달러 시장 내 신약 경쟁 본격화.

  • Novo Nordisk, UBT251 글로벌 판권 20억 달러에 인수
    → 비만 치료제 신약으로 시장 점유 확대 시도.

  • 파마리서치, 씨티씨바이오 인수로 의약품 확대
    → 기존 피부재생 주사 '리쥬란' 기반에서 인체의약품 확장 추진.
    GMP 인증 시설 기반 시너지 기대.


4. 조선

  • 미국 항만 수수료 정책 변경 가능성
    중국 선사·중국산 선박 대상 수수료 인상 미실현 가능성 제기.
    → 한국 조선사 기대 반사이익 축소 우려 언급됨.


5. 통신

  • SK텔레콤, AI 사업 확장 대비 이사회 구성 개편
    전략·재무통 인사 대거 합류.
    → AI 중심 포트폴리오 및 재무관리 강화 기조.


6. 뷰티

  • 파마리서치, 피부재생 주사 '리쥬란' 유럽 진출 임박
    → 2022년 대비 두 자릿수 매출 성장률 지속.
    → 글로벌 뷰티 의료 시장 확장 기반 확보.


※ 다음 테마는 첨부파일 내 관련 내용이 전혀 없어 제외합니다:
전력설비, 로봇, 전염병, 탄소, 원전



우주항공, 방산, 물류, 원자재, XR, 게임, 엔터, 가산자산


1. 우주항공

  • Intuitive Machines, 2025년 매출 79% 증가
    → 이에 따라 주가 20% 급등.

  • Air Lease, 러시아 내 항공기 보험금 3.28억 달러 수령
    → 항공기 자산 관련 손실 회복 흐름 반영.


2. 방산

  • 한화에어로스페이스, 유상증자 추진
    → 부채비율이 397%까지 상승한 점이 원인.
    → 방산·우주 사업 확대에 따른 자금 수요 대응 목적.


3. 물류

  • 사조그룹, 푸디스트 인수 후 통합 작업 본격화
    → 고객사 데이터와 유통·물류 인프라의 유기적 결합 추진.
    C&D(외식 식자재), FS(위탁급식) 사업 통합 효과 기대.


4. 원자재

  • 포스코, 환율 리스크 방어 성공
    파생상품 자산 3배 증가, 통화스왑 및 선물환 운용 성과.
    → 환율 변동성에 따른 손실 방어 전략 효과 입증.


※ 다음 테마는 첨부파일 내 관련 정보가 없어 제외합니다:
XR, 게임, 엔터, 가산자산



2025-03-24

03월 24일 투자뉴스 내용정리(SK하이닉스·한화에어로·LS일렉트릭·삼성전자·리튬·XR·ESS·리플·보잉·하림·크래프톤 핵심 이슈 정리)

거시경제, 미국, 중국, 아시아, 정치, 정책, AI, 드론, 양자, 자동차, 배터리


■ 거시경제

  1. 중앙은행 스탠스 변화

    • 미국 FOMC 위원 성향: 극매파 2명, 극비둘기 4명 등 다양한 의견 분포.
    • 뉴욕연은 총재 “QT 속도 조절은 자연스러운 과정” 발언.
    • 시카고연은 총재 “일회성 관세는 일시적 인플레 영향” 언급.
  2. 금리 및 채권시장 지표

    • 미국 1년 내 경기침체 확률 25%, 기준금리 4.33% 유지.
    • 장단기 금리차 회복 조짐 (+0.298%p).
    • 한국 10년 국채 금리 2.80%, 장단기 금리차 +0.215%p.
  3. 52주 최저 기업군 증가

    • 미국 주택건설 기업군 52주 최저치 기록.
    • 경기 둔화 우려 신호로 해석 가능.

■ 미국

  1. 마이크론 주가 급락

    • 정규장에서 9% 하락하며 야간선물 -0.7%로 연동.
    • 마진 악화 우려 반영.
  2. SEC, 리플 소송 취하

    • XRP 11% 급등.
    • 암호화폐 시장 규제 완화 기대감 반영.
  3. 미국 국방부 장관의 한국 제외 순방

    • 괌·일본 등 아시아 순방 중 한국은 일정에서 제외됨.
    • 외교적 ‘패싱’ 논란 발생.

■ 중국

  1. 무역갈등 속 대응 전략

    • 리창 총리 “미국발 관세 쇼크 대비돼 있다” 발언.
    • 대미 수출제한(VER) 검토 중, 대상은 전기차·배터리.
  2. 아스트라제네카, 베이징 R&D 투자

    • 25억 달러 규모 연구개발 센터 설립 계획.
    • 중국 내 의약품 시장 공략 강화.
  3. 중국산 후판에 반덤핑 관세

    • 27.91~38.02%의 잠정 부과 예정.
    • 국내 조선사, 국산 후판으로 대체 시도.

2025-03-22

03월 22일 투자뉴스 내용정리(한화에어로, 하이브, 페덱스, 엔비디아, 뉴진스, 고려아연, AI로봇, 양자컴퓨팅, 가상자산 이슈 총정리)

거시경제, 미국, 중국, 아시아, 정치, 정책, AI, 드론, 양자, 자동차, 배터리


■ 거시경제

  1. FedEx, 실적 가이던스 하향 조정
    • 2025년 실적 전망 하향에 따라 주가 6% 하락, Dow 운송지수는 전고점 대비 -17% 기록.
  2. 나이키, 상반기 매출 경고
    • FY2026 상반기 실적 약세 전망에 주가 6% 하락, 소비 심리 위축이 원인.

■ 미국

  1. 미국 항공 관제 시스템 현대화 추진
    • 미 교통부가 신형 레이더·공항 터미널 업그레이드 계획 발표. 양당 모두 지지.
  2. 스텁허브 IPO 추진
    • 뉴욕증시 상장 계획. IPO 시장 회복 기대감 형성.
  3. 美 에너지기업, 가스 생산 증가
    • 천연가스 가격 91% 급등 가능성, 원유·가스 시추 장비 593기 집계.

■ 중국

  1. 中 OLED·배터리 기술 추격에 삼성·LG 긴장
    • 대규모 투자 + 정부 지원으로 추격 본격화. 한국 기술 초격차 전략 중요.

■ 아시아

  1. 네이버클라우드, 동남아 AI 시장 본격 진출
    • 엔비디아와 ‘소버린 AI’ 구축 협력, 비영어권 LLM 기반 성과 목표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