거시경제 ☁️
① 미국 CPI 4월 예상치 2.3%로 물가 안정 흐름 지속되며 금리 동결 또는 인하 가능성이 부각됨
② 중국 생산자물가 31개월 연속 하락, 소비자물가 0.4% 상승에 그쳐 디플레이션 우려 증폭
③ 장단기 금리차 0.488%p로 축소, 미국 경기 침체 시그널로 해석됨
미국 ☁️
① FOMC 구성은 극매파~극비둘기파까지 다양, Fed 인사들은 통화정책 유지와 점진적 긴축 의견 병존
② Fed 부의장 “현 정책 적절”, 이사 쿠글러는 “완만한 긴축 필요” 강조
③ 트럼프, “관세 철폐 일부 가능성” 언급… 미중 무역 협상 진전에 긍정 평가
중국 🌧
① 생산자물가 2.7% 하락, 소비자물가 0.4% 상승 → 경기 둔화 및 디플레이션 징후
② 인민은행, 7일물 Repo 금리 0.05%p 인하하며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 유지
③ 중국 수출, 소비, 대출 지표에 투자자들 관심 증가하며 경기 부양책 주목
아시아 ☀️
① 국내 투자자들, 미중 갈등 리스크 회피 위해 브라질·인도·베트남 등 신흥아시아 ETF에 자금 분산 투자 중
② 브라질 국채 ETF는 3개월 수익률 10.78% 기록하며 대안 시장으로 부상
정치 ☀️
① 이재명 후보, 대선 10대 공약 발표 예정… AI, 신재생에너지, 지역화폐, 반도체 등 정책 테마주 부각
② 김문수 후보 확정으로 국민의힘 인맥주는 단기 이벤트 종료 흐름, 한덕수 관련주는 변동성 주의 필요
③ 정책 테마 예상: AI, 전력망, 지역화폐, 반도체, 스테이블코인 등
정책 ☀️
① 증권지수 47% 상승 배경에는 자사주 소각, 의무보유 확대, 대체거래소(ATS) 설립과 같은 정책 기대감이 작용
② 한국거래소의 시장감시위원장 교체, 보험사 대상 K-ICS 도입 예고 등 금융시장 규제 방향성에 대한 정책 신호 등장
③ SK리츠 등 대기업들이 회사채 발행과 만기 장기화를 통해 정책 변화에 대응하며 자금조달 방식 변화 시도
양자 ☀️
① Amazon, Ocelot 칩을 통해 양자컴퓨터 시장에 본격 진입하며 오류 수정 문제 해결 시도
②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 간 양자컴퓨팅 경쟁 본격화 움직임… 기술력 확보를 위한 정부계약 확대와 투자 가속화 동시 진행
AI ☀️
① OpenAI의 공익법인 전환 이후 Microsoft는 기존 지분을 포기하고도 AI 모델 접근 권리를 확보함으로써 장기적인 기술 확보에 주력
② 국내 AI 데이터센터 시장은 2034년까지 1085조원 규모로 성장 전망되며, 반도체·전력·건설까지 연계된 핵심 미래 먹거리로 부상
③ Nvidia는 미국 수출 규제로 인해 중국향 성능 제한 AI 칩을 출시하며 지정학적 규제가 기업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줌
기후변화 ☀️
① 한국의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처음으로 10%를 돌파하고, 원자력 포함 무탄소 전원 비중이 42%를 넘어섬
② 풍력발전소 증설 등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 확대가 본격화되었으나, 미래 에너지 수요 증가 대응에 대한 우려도 존재
에너지 ☀️
① Panasonic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(ESS)과 데이터센터 중심으로 사업을 전환하며 전통에너지에서의 구조조정을 단행
② 한국의 에너지 믹스 변화 속에서 원자력 발전이 석탄을 제치고 1위 발전원에 올라섰고, 신재생과의 합산 비중이 크게 확대
③ ESS 및 스마트그리드 시장에 대한 민간 기업의 진입이 확대되며 에너지 효율화 흐름 강화
원전 ☀️
① 트럼프 행정부는 2050년까지 미국 원자력 발전 용량을 현재의 4배로 확대할 계획이며, 이를 위해 안전 규정 개정과 승인 기간 단축을 추진
② AI 확산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원자력 확대가 미국의 에너지 전략 핵심으로 부상
③ 체코 원전 사업의 법원 판결 결과에 따라 두산에너빌리티 등 국내 원전 관련주의 변동성 확대 가능성
전력설비 ☀️
① Panasonic이 사업 전환의 일환으로 전력 기반 인프라(ESS, 데이터센터 등)에 집중하며 관련 전력설비 수요 증가 유도
② AI 데이터센터 수요 급증으로 인해 스마트그리드, 전력망, 냉각, 송배전 설비 전반에 대한 수요가 상승 중
반도체 ☀️
① 싸이닉솔루션은 AI·전기차용 고성능 시스템반도체 수요 증가를 배경으로 IPO를 추진하며 오버행 리스크를 성장성으로 정면 돌파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
② AP시스템은 삼성과의 협업을 기대하며 유리기판 장비 R&D에 착수했고, 지주사로부터 기술 및 인력을 이전받아 기초 연구를 진행 중
③ 고영은 한국형 ARPH 프로젝트 관련 종목으로 주목받고 있으며, 수급 강세와 함께 신고가를 경신
자동차 ☁️
① 지난해 자동차 부품 1차 협력사들의 영업이익이 11.7% 감소했으며, 미국 관세 영향이 완성차 업계 전반에 가시화되면서 부품 업계 실적 악화 우려가 확대
② 현대차-BYD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은 공장 무인화에 속도를 내며 산업용 로봇 및 공작기계 수요가 확대되고, 두산로보틱스·DN솔루션즈·현대위아 등이 수혜주로 부각
③ Panasonic은 EV 배터리 부문에서 39% 수익 증가를 예상하며 Tesla 등 주요 고객사에 대한 공급을 지속 중
로봇 ☀️
① 다크팩토리 트렌드 확산으로 산업용 로봇과 공작기계 수주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K-로봇 수요가 급증
② 1분기 공작기계 수주액은 전년 대비 20% 증가했으며, 두산로보틱스, DN솔루션즈, 현대위아, 하이젠모션 등이 수혜주로 부각
③ 현대차와 BYD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공장 무인화를 가속화하면서 스마트팩토리 및 자동화설비 관련 수요도 확대
드론 ☀️
① 재건 테마주 급부상 가운데 전진건설로봇 등과 함께 군사·정찰용 드론이 포함된 전력 강화 이슈가 부각
② 우크라이나-러시아 전쟁 관련 이슈에서 감시 및 자폭 드론 수요 증가 예상, 군집드론 활용 가능성도 시장에서 거론
방산 ☀️
① 나토의 방위비 증액 논의가 본격화되며, 한화시스템·LIG넥스원 등 K-방산주가 실적과 수급 모두에서 상승세
② 우크라이나-러시아 평화 회담 기대감과 함께 종전 이후 재건 및 국방력 증강 테마로 방산주 수요 확대 가능성 언급
③ 현대로템, 한화엔진 등도 방산·전력 강화 관련 종목으로 외국인 수급이 강하게 유입 중
조선 ☀️
① 조선업계는 200조 원 규모의 수주잔고를 확보한 가운데, 미국과의 안보 및 군함·해양플랜트 협력 논의도 진행
②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은 미국 백악관 핵심 인사들과의 협의 통해 미국 내 조선기지 확대 및 기술 협력 추진
③ 에이텀은 조선 부품 기업 인수를 통해 시장 진입 교두보를 마련하며 수익 개선 기대
우주항공 ☁️
① 직접적인 위성·로켓 발사 언급은 없으나, UAM 및 드론 관련 기술 흐름과 함께 방위 및 항공기 관련 사업 확장이 병행
② 미국과의 안보 기술 협력, 우주방위 프로젝트의 민간 투자 유입 가능성은 향후 수혜 요인으로 분석 가능
통신 ☀️
① SK텔레콤은 유심칩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‘유심 재설정 기술’을 도입하며 공급 병목에 대응하는 기술적 해결책을 적용
② LG유플러스는 과감한 체질 개선 전략에 힘입어 주가가 급등했으며, 성장 기대감이 단기 모멘텀으로 작용
가상자산 ☀️
① Coinbase는 파생상품 경쟁력 강화를 위해 Deribit 인수를 추진하며, 29억 달러 규모의 거래로 글로벌 점유율 확대를 노림
②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이며, 메타·스트라이프·마스터카드 등 빅테크 기업들이 전략적 진출 중
③ 국내에서는 디지털화폐 및 관련 인프라 준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있으며, 제도적 뒷받침이 과제로 부각
바이오 ☀️
① 유한양행은 폐암 신약 ‘렉라자’ 수출 증가로 1분기 매출 4694억 원(전년 대비 +8.4%)을 기록, 영업이익도 흑자 전환
② GC녹십자는 혈액제제 실적 개선, SK바이오팜·HK이노엔도 자체 신약 성과 기반으로 주목
③ 제약업계 전반은 신약 중심 수익 구조로 전환 중이며, 글로벌 매출 확대 기대
헬스케어 ☀️
① Johnson & Johnson은 건선 치료제 'Icotrokinra'의 임상 3상에서 긍정적 결과 도출
② 유럽의약품청(EMA)은 피나스테리드 복용 시 자살 충동 부작용을 공식 확인하며 약물 안전성에 대한 관심 환기
③ Novavax는 COVID-19 백신 FDA 승인에 대한 낙관론이 제기되며 주가 19% 상승
의료AI ☀️
① 로킷헬스케어는 코스닥 상장을 통해 3D 바이오 프린터 및 개인화 바이오잉크 등 AI 기반 재생치료 기술을 선보임
② 해당 기업은 환부 자동 모델링 기술을 통해 개인 맞춤형 치료 지원 플랫폼을 구축
전염병 ☁️
① 미국 FDA는 중국·인도 중심의 해외 의약품 공장 불시점검 제도를 한국 등으로 확대하여 품질 형평성 확보 목적
② 국내 셀트리온, 삼성바이오로직스 등은 글로벌 품질 기준 대응력 강화를 위한 대응 필요
③ 해당 조치는 단기 리스크보다 장기적 품질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중요한 시사점
뷰티 ☀️
① 비건 뷰티 브랜드 ‘달바’ 운영사 달바글로벌은 공모가 66,300원으로 상장 예정, 미스트·선크림 중심으로 홈케어 시장 확대 중
② 한류 기반 수출 전략과 더불어 클린뷰티·이커머스 기반 유통 확장이 예상됨
물류 ☁️
① Krispy Kreme은 맥도날드 유통 판매를 중단했으며, 실적 부진과 파트너십 전략 재검토 필요성으로 주가가 하락함
② Lyft는 매출 부진에도 불구하고 자사주 매입 계획 발표 후 주가가 10% 상승하며, 물류 및 운송업계의 전략 변화에 주목
③ 태웅로직스는 자사주 장외매수를 공시하며 유통 및 물류 사업 가치 제고 시도
원자재 ☀️
① Nippon Steel은 15조 원 규모의 U.S. Steel 인수를 추진하고 있으며, 미국 당국의 보호무역 검토 속 글로벌 철강 산업 변화에 직면
② 금 실물 거래는 양도세 면제 대상이나, ETF 및 펀드 투자 수익은 배당소득세 과세 대상임 → 실물 금에 대한 투자자 관심 지속
③ 최근 WTI(서부 텍사스산 원유) 가격이 +1.8%, 천연가스 +5.4%, 금 +0.7% 상승하며 원자재 시장 강세 흐름 확인
XR ☀️
① LG유플러스는 유무선 통합 조직 개편과 함께 XR 콘텐츠 등 미래 성장 산업에 투자 확대를 예고하면서 주가가 급등
② 미디어·콘텐츠·XR을 아우르는 신사업 전략이 시장 기대감을 자극했으며, 기관 수급과 실적 안정성이 긍정적 평가 요인
게임 ☁️
① 일본 게임사 Konami가 52주 신고가를 기록하며 글로벌 경기 방어적 성격의 게임 섹터에 대한 관심 증가
② 국내에서는 그라비티가 매출은 증가했지만, 수익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아쉬운 실적을 기록하여 투자자 평가 엇갈림
엔터 ☀️
① 하이브가 52주 최고가 종목으로 등극하며 K-엔터 및 한류 콘텐츠 섹터에 대한 투자심리 강세
② 아센디오는 KBS와 일일드라마 제작 계약(33억 원 규모)을 체결하며 OTT·콘텐츠 기반 매출 다변화 시도
기타 산업 및 기업 동향 ☀️
① 에이텀은 비상장사 ‘디에스티’를 인수해 조선 부품 시장 진출 교두보를 마련했고, 선박용 트랜스 제작을 통해 수익성 개선을 기대
② AP시스템은 유리기판 장비 R&D를 시작했고, 삼성과의 협력 가능성이 언급됨
③ SK온은 1분기 대규모 영업손실 지속, SK이노베이션은 배터리 적자에 대응해 비상경영 돌입
④ LG CNS는 스마트시티 수주 확대에도 수익성 미흡, 매출 인식 지연이 원인
소비·유통 ☁️
① Lyft는 매출 부진에도 자사주 매입 발표로 주가 10% 상승, 소비·모빌리티 수요 기대감
② Krispy Kreme은 맥도날드 유통망 철수로 주가 하락, B2B 전략 재검토 필요
③ 조직범죄가 기술을 악용한 화물 절도 증가, 소비자 물가 상승 요인으로 부각
IPO 및 금융시장 ☀️
① 싸이닉솔루션은 AI·전기차 반도체 수요 기반으로 IPO 추진, 오버행 리스크를 성장 기대감으로 극복 시도
② 레페리는 MCN 업계에서 유일하게 흑자 전환하며 IPO 기대 상승
③ SK리츠는 장기 회사채 1500억 원 발행 추진하며 자금 조달 전략 강화
정책·제도 및 인사 ☁️
① 한국거래소는 김홍식을 신임 시장감시위원장으로 선임
② K-ICS(보험사 지급여력 비율) 규제를 사전 예고 없이 발표해 업계 혼란
③ 문동권 전 신한카드 사장은 한국렌탈 대표로 내정, 금융 전문성 부각
사회·법률 이슈 🌧
① 인트론바이오는 2년 연속 적자에도 배당 및 자사주 매입 강행 → 주가 부양 목적 논란
② 박현종 전 bhc 회장은 20억 원대 공금 유용 혐의로 검찰 송치
교육 및 문화 트렌드 ☁️
① 일부 학원가에서 “초6 때 의대 결정”식 공포마케팅이 확산, 교육 부담 증가 우려
② 문화 콘텐츠 투자 실패로 인한 손실(예: 영화 '미키17')에 대한 세제 이월공제 전략 언급