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-04-15

04월 15일 주식테마 내용정리(방산·K-뷰티·AI·조선·로봇·반도체·에너지·니켈광산·정치·화이자·트럼프·미중갈등)

거시경제, 미국, 중국, 아시아, 정치, 정책, AI, 드론, 양자, 자동차, 배터리

📌 거시경제

  1. 글로벌 통화정책 안정화 흐름

    • FOMC 내 일부 위원이 올해 말 금리 인하 가능성 언급.

    • 미 국채금리·신용스프레드 하락, 위험자산 선호 회복 흐름 감지.

  2. 한국 시장도 장단기 금리차 확대

    • 한국 10년-3년 금리차 0.275%p까지 확대.

    • 이는 경기 회복 기대 반영된 수치로 해석됨.


📌 미국

  1. 트럼프 재출마 시사 및 정책 변수

    • 트럼프 건강 이상 無. 방산, 에너지, 국경안보 등 정치 테마 재부각.

    • 미국 내 보호무역 기조 지속,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 확대.

  2. 미국 통화정책 기조

    • Fed 금리선물 내재금리 4.102%, 연내 인하 기대 유지.

    • 국채금리 하락과 함께 위험자산 선호 회복 흐름.


📌 중국

  1. 중국의 초저가 가전 공세

    • 샤오미·TCL 등 초저가 스마트폰, 가전제품 한국 공략 본격화.

    • 환율·부품자급률 효과로 가격경쟁력 확보.

  2. 시진핑, 베트남 방문

    • 미국 견제 위해 공동 대응 촉구, 미중 외교 전선 확장 시도.



📌 아시아

  1. 일본 대기업 인건비 상승

    • 신입 연봉 300만 원 이상 기업 증가 → 내수·서비스업 수익성 압박.

  2. 한국 환율 안정

    • NDF 기준 원/달러 1,417.70원으로 하락, 외국인 유입에 긍정적 신호.


📌 정치

  1. EU의 무역 다변화 전략

    • 美 관세 우려로 UAE·멕시코·아세안 등과 FTA 확대 추진.

  2. 트럼프 정책 영향

    • 소비세·관세 이슈로 명품 소비 위축, 고가 소비재 섹터 주가 하락.


📌 정책

  1. 1주택자 재산세 완화 연장

    • 공정시장가액비율 특례 1년 연장, 실수요자 세부담 완화 조치.

  2. 전세사기 특별법 2년 연장 가시화

    • 전세보증금 피해 지속, 공공임대·보호 정책 강화 방향.


📌 AI

  1. 두산로보틱스의 AI 휴머노이드 개발 전략

    • 전담 R&D 조직 설립 예정, 멀티암·충돌회피 기술 등 개발.

  2. AI 기반 독성평가 주목

    • 미국 FDA 동물실험 의무 폐지 이후 AI+오가노이드 기술 부각.

  3. 생성형 AI 구독 모델 확산

    • 월 200달러 이상 구독료, 수익모델 전환 본격화.

  4. AI가 굴리는 퇴직연금

    • 로보어드바이저 활용 IRP 수익률 최고 30% 기록.


📌 드론

관련 내용 없음 (제외)


📌 양자

관련 내용 없음 (제외)


📌 자동차

  1. GM, 전기 밴 생산 축소

    • 수요 부진에 따른 생산조정. 전기차 확산 기대감과 온도차.

  2. 루시드, 니콜라 자산 인수 추진

    • 전기트럭 생산 기반 확장 목적.


📌 배터리

  1. 호주 니켈광산 가동 지연

    • 포스코홀딩스의 니켈광산 투자 후, 캐즘 현상 지속으로 가동 지연.

    • 관세 리스크로 원자재 가격 변동성 확대.



에너지, 반도체, 전력설비, 로봇, 바이오, 전염병, 조선, 통신, 뷰티, 탄소, 원전

📌 에너지

  1. BP, 멕시코만에서 석유 발견

    • 2030년까지 생산 확대 계획 수립.

  2. 미국 에너지 기업, 시추기 감축

    • 유가 하락과 관세 부담으로 시추 활동 축소.

  3. NextDecade, TotalEnergies와 LNG 계약 체결

    • 장기 공급 계약으로 안정적 수익 기반 확보.


📌 반도체

  1. 타이완 IT주 상승

    • 미국 관세 일시 면제로 인해 주가 반등.

  2. 반가드 인터내셔널, 싱가포르 반도체 공장 건설 가속화

    • 지정학적 리스크 대응 차원의 생산기지 다변화 전략.


📌 로봇

  1. 두산로보틱스, AI 중심 휴머노이드 전략 발표

    • 다관절 멀티암, 충돌 회피 기술 개발.

    • R&D·소프트웨어 분야 대규모 인재 채용 중.

  2. 사업구조 재편 강조

    • 지능형 로봇 솔루션 중심으로 효율적 협업 시스템 구현 추진.


📌 바이오

  1. AI 기반 독성평가 기술 부각

    • 미국 FDA 동물실험 의무 폐지 발표 이후 오가노이드·AI 기술 주목.

  2. 국내 기대주: 슈퍼텍·셀비온 등

    • 시장규모 2030년까지 약 3배 성장 전망(2021년 98억불 → 294억불).

  3. 화이자, 비만 치료제 개발 중단

    • M&A 전략 전환 기대감 부각.


📌 조선

  1. 국내 도크 포화로 해외 생산 확대

    • HD현대(베트남, 필리핀), 삼성중공업(중국 등) 중심으로 가동률 확대.

  2. 조선주 주가 상승

    • 한국카본(+41.95%), 세진중공업(+31%) 등.

  3. ETF 동반 상승

    • TIGER 조선 ETF +17.46%, SOL 조선TOP3플러스 +16.43%.


📌 뷰티

  1. K-뷰티, 미국 관세 리스크에도 안정주 부각

    • 가격 대비 성능(가성비) 우수로 수출 타격 제한적일 것이라는 평가.

  2. 한국콜마 2주 새 13.5% 급등

    • TIGER 화장품 ETF 상승과 함께 수급 유입.

  3. 국민연금, 한국콜마 지분 확대

    • 실적 및 안정성 기대에 따른 전략적 투자.


해당 테마 중 전력설비, 전염병, 통신, 탄소, 원전은 첨부파일 내 명시적 언급이 없어 제외했어.


우주항공, 방산, 물류, 원자재, XR, 게임, 엔터, 가산자산

📌 방산

  1. 우크라이나 전황 격화로 방산주 모멘텀 지속

    • 독일, 타우루스 미사일 공급 가능성 언급.

    • 민간인 피해 확대에 따른 장거리 무기 지원 검토.

  2. 트럼프 정치 재부상과 연계된 테마주로 주목

    • 방산, 에너지, 국경안보 등 ‘정치 테마주’ 흐름 강조.

  3. 러-우 전쟁 장기화로 관련 섹터 지속 관심

    • 민간 피해 확산 및 미국 개입 불확실성 유지.


📌 원자재

  1. 호주 니켈광산 가동 지연

    • 포스코홀딩스가 투자한 2,700억 원 규모 광산, 전기차 수요 정체로 재가동 지연.

    • 트럼프 관세 여파로 광물 가격 변동성 확대.


📌 가산자산

  1. 해당 테마는 첨부파일 내 명시적 언급 없음 → 제외


📌 우주항공, 물류, XR, 게임, 엔터

모두 첨부파일 내 관련 내용 없음으로 제외

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