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-05-15

05월 15일 주식테마 내용정리(AI 반도체, K-방산 수출, 메타버스·로봇, 바이오 신약, 트럼프 중동정책, 가상자산·넷플릭스 확장) 기술주 반등과 방산 투자, K-바이오 및 엔터테크 흐름 총정리

거시경제 ☀️

① 미중 무역합의 기대감으로 금리가 상승하며 주식시장은 기술적 과열권에 근접
② 미국 10년 국채금리는 4.54%(+0.07%p), 2년물은 4.05%(+0.05%p), 장단기 금리차는 +0.481%p로 확대
③ 한국은행 10년물 금리는 2.71%(-0.01%p), 3년물은 2.35%(-0.02%p)로 하락, 통화정책 영향 반영


미국 ☀️

① FOMC 구성은 매파 7명, 비둘기파 5명(중립 6명 포함)으로 금리동결 기조 유지, Fed 부의장은 인플레 재상승 가능성 언급
② 트럼프 대통령은 카타르와 1.2조 달러 규모 경제협약 체결, 보잉 210대 포함한 최대 계약 성사
③ 기술주 중심 나스닥 +0.75% 상승, Nvidia·AMD·Super Micro 등 사우디 AI 투자 수혜


중국 ☀️

① 중국은 미국 대상 희토류 수출 규제를 중단, 28개 미국 기업 대상 조치 유예
② CATL H주 상장 공모금액 약 40억 달러 확정, 5월 20일 거래 개시 예정
③ 중국 인민은행은 신중한 통화정책 유지, 7일물 Repo 금리 1.55%(+0.02%p)로 소폭 인상


아시아 ☁️

① 인도-미얀마 국경 무장세력 충돌로 10명 사망, 국경안보 우려 확산
② 한국·중국·일본 간 무역 재조정 움직임 지속, 아시아 공급망 재편 흐름 반영
③ 한국 2차전지 업종은 미국 보조금 축소 우려로 52주 최저 기록



정치 ☀️

① 대선 TV 토론 일정 공개, 정치 테마주 및 인맥주 일시적 반등 시도
② 유진로봇은 이재명 후보 사회이사 이력으로 정치+로봇 테마주 동시 분류
③ 정책 관련주는 중순 이후 대선 공약 발표 시점과 연계돼 단기 변동성 확대 가능성


정책 ☀️

① 이재명 대선후보는 햇빛연금 등 신재생에너지 중심 공약 시사, 태양광 관련주 반등
② 토지거래허가제 완화 이후 4월 가계대출 5조 이상 급증, 주택담보 중심 수요 자극
③ 청약시장에서는 소형 평형을 중심으로 30대 실수요자 유입 증가, 정부의 주거정책 변화 반영


양자 ☀️

① 사우디·카타르 순방 중 양자컴퓨팅 분야 10억달러 투자 계획 발표, 관련 기술주 재부각
② 엑스게이트, 차세대 양자 VPN 상용화 성공 소식으로 단기 급등
③ ICK, KCS 등 양자 관련주는 기술력·실적 기대감과 함께 재료 이슈 발생 시 강세 가능성


AI ☀️

① Nvidia는 UAE에 연간 50만 개 AI칩 공급 계약을 체결, AI 클러스터 확대를 위한 중동 전략 본격화
② 삼성전자는 유럽 HVAC 기업 플랙트 인수로 AI 데이터센터 수요 대응, AI 인프라 강화 목적
③ Cisco는 AI 데이터센터 투자 수요 확대에 따라 실적 및 2025 가이던스 상향 조정


기후변화 ☀️

① 미국 에너지업계는 청정에너지 세액공제 유지 촉구, 정부의 예산 삭감 움직임에 대응
② OPEC은 미국 GDP 성장률을 1.7%로 하향 조정하며 에너지 수요 둔화 가능성을 반영
③ Vermont주는 인프라 부족으로 전기차 판매 의무화 일시 유예, 기후정책 실효성 논란


에너지 ☀️

① 이재명 후보의 '햇빛연금' 공약이 부각되며 태양광 정책 테마에 관심 집중
② 한화솔루션·현대에너지솔루션은 외국인 양매수와 기술적 저항 돌파로 시장에서 주목
③ 사우디 Aramco는 미국 기업들과 900억달러 규모 협력 MOU 체결, 에너지 협력 확대


원전 ☀️

① 두산에너빌리티·BH는 최근 3일 연속 수급 유입, 원전 정책 수혜 기대
② 두산에너빌리티는 두산밥캣 지분을 담보로 4,300억 원 대출 확보, 원전 사업 기반 확보 목적
③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트럼프의 중동 순방에 동행하며, 원전 수출 기대감 부각


반도체 ☀️

① 엔비디아 주가 상승에 따라 SK하이닉스 수급 강세, AI 반도체 수요 확대 영향
② Foxconn은 AI 서버 수요 급증으로 1분기 이익 91% 증가, 미중 리스크 병존
③ Intel은 18A·14A 공정 지연에도 2027년 손익분기점 도달 목표 유지


전력설비 ☀️

① 삼성전자는 독일 플랙트그룹을 1.5B 유로에 인수, AI 데이터센터 및 HVAC 수요 대응 목적
② 한화솔루션, 현대에너지솔루션은 외국인 양매수와 기술적 저항 돌파로 태양광·스마트그리드 테마 내 관심 집중
③ 대성파인텍·에스디엔 등은 전환청구권 이슈 등 개별 수급주로 분류, 출력제어 및 인버터 수요 확대와 연관


자동차 ☀️

① Tesla는 중국에서 미국으로 부품 수출 재개, 관세 휴전 활용하여 Cybercab·Semi 생산 확대 계획
② Uber는 경로 공유·선불 패스 도입과 함께 자율주행 테스트 확대, 미래 모빌리티 시장 진출 강화
③ 현대차·기아는 엔비디아, Arm 등과 협력한 AI 차량용 반도체 탑재 차량 확대 추진


로봇 ☀️

① 테슬라는 휴먼노이드 로봇 ‘옵티머스’의 발레 영상 공개, 줄 없이 균형 잡는 동작으로 AI 로봇 기술력 과시
②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 계열사 편입 및 5~6월 로봇 ‘볼리’ 출시 계획으로 주가 상승
③ 로보티즈는 중국 최대 휴먼노이드 로봇 기업에 액추에이터 공급, 기술력 우위 강조


드론 ☁️

① 후티 반군은 성공적인 군사 공격 수행 후 자축 성명 발표, 전술 드론 및 감시 기능 주목
② 테슬라·GE와 협력한 항공 드론 기술은 중동 패키지 투자 포함 가능성으로 부각
③ 드론택시 등 UAM 관련 기술은 카타르 투자 프레임 내 포함되어 이슈 감지


방산 ☀️

① 미국은 튀르키예에 AIM-9X, AIM-120C-8 미사일 100여 발 수출 승인, 총 2.2억 달러 규모
② 트럼프 중동 순방 중 사우디·카타르와 2조 달러 규모 투자 협정 체결, 방산 포함
③ 정용진 신세계 부회장이 트럼프 순방에 유일한 한국인으로 동행, 방산 수출 기대감 확대


조선 ☀️

① 카타르가 미국 보잉과 960억 달러 규모 항공기 계약 체결, 조선·해양 인프라 확대 기대
② 현대중공업 계열사는 LNG선 수주 가능성 부각, 중동발 수주 모멘텀 기대감 형성
③ 팬오션은 LNG 선박 투자에 1.6조 투입 발표, 친환경 선박 확장 의지


우주항공 ☀️

① 스피어는 연이은 우주 공급계약 공시로 시장 신뢰 회복 중, 항공기 및 위성 기술 강화
② 카타르 투자 패키지에는 항공기·우주 방위 분야도 포함, 중동 항공기 생산 확대 기대
③ 보잉은 대형 수주로 재도약 기대, GE에어로·우주방산 주식 수급 관심 상승


통신 🌧

① SK텔레콤은 대규모 해킹 사태로 가입자 26만 명 이탈, 정보보호 미흡 문제 부각
② SKT는 22년간 1위 통신사 지위를 유지했으나 보안 투자 소홀로 위기 노출
③ 알뜰폰·MEC 관련 기술 부재로 위기 대응력 부족 지적


가상자산 ☀️

① 비트코인 탐욕 지수 73 유지, 투자심리 강세 지속
② JP모건은 블록체인에서 첫 국채 토큰화 거래 진행, DeFi 기술력 입증
③ Tether는 비트코인 459M 달러 매수 후 신규 트레저리 설립, 시장 내 영향력 강화


바이오 ☀️

① 대웅제약은 비만·대사질환 신약 로드맵을 본격 가동하며 2030년까지 글로벌 매출 창출을 목표로 설정
② 앱클론은 기술이전 계약 및 122억 유상증자를 통해 관리종목 탈피와 재무 안정화에 주력
③ 트럼프가 약가 인하 정책을 재추진하며 SK바이오팜·GC녹십자 등 고가 신약 수출 기업에 부담 예상


헬스케어 ☀️

① AbbVie는 폐암 신약 Emrelis의 FDA 승인을 받았고, 반응률은 35%로 보고
② Sanofi는 미국 내 제약 생산 확대를 위해 2030년까지 200억 달러 투자 계획 수립
③ Novo Nordisk는 Septerna와의 협업으로 비만·당뇨 신약 개발 및 시장 확대에 집중


의료AI ☀️

① OpenAI는 헬스 AI 성능 평가를 위한 플랫폼 ‘HealthBench’를 출시
② 디지털헬스 평가 기반이 확장되며 AI의료기기와 임상 도구로의 응용 가능성 제시
③ CMS는 약가 협상 관련 지침안 발표로 투명성 확대, AI기반 가격 책정 자동화 기대


전염병 ☁️

① 팬데믹 및 감염병 관련 직접 언급은 제한적이나, CMS의 약가 협상 지침안이 백신·치료제 가격에도 간접 영향 예상
② EV 판매 의무제 유예 및 인프라 부족 이슈는 향후 대유행 시 방역·격리 조치 실행에 간접적 리스크


뷰티 ☀️

① 필립모리스는 저가 전자담배 라인업 확대 전략으로 KT&G를 추격하며 소비재 마케팅 반등 시도
② 화장품 업종 순익 컨센서스는 1.1조원으로 전년 대비 유지, 중국 수출 회복 기대
③ 미용·홈케어 제품군은 MZ 소비 확대로 안티에이징 및 K-뷰티 중심 트렌드 유지


물류 ☁️

① 롯데물산은 물류센터 매각 추진, 자산 재편 목적
② 동방은 해운 자산 확보를 통해 항만 기반 확대 전략 추진
③ 국제 물류 기업들은 공급망 리스크 속 자산 구조조정 강화


원자재 ☀️

① MP Materials는 사우디 Ma’aden과 희토류 공급망 협력 체결
② 원유·천연가스 가격 하락, 금 가격은 하루 -1.9% 급락하며 시장 변동성 확대
③ Akzo Nobel India는 수요 부진 및 원가 상승으로 실적 부진 발표


XR ☁️

① Meta와 Alphabet은 AI 제품 개발을 우선순위에 두고 XR 등 기존 실감형 콘텐츠 연구는 후순위로 밀려나며 시장 우려 발생
② YouTube는 광고 참여율을 높이기 위한 AI 도구 ‘Peak Points’를 출시하며 디지털 트윈 기반 콘텐츠 최적화 강화
③ 삼성전자는 플랙트 인수를 통해 AI·HVAC 기반 데이터센터 수요 대응, 실감형 콘텐츠 활용 가능성 확대


게임 ☀️

① 넷플릭스 광고 요금제는 9400만 가입자를 돌파, 게임IP 기반 오리지널 콘텐츠 확대 가능성
② 유튜브·아마존은 AI 기반 콘텐츠 타겟팅 및 디바이스 조직 개편을 통해 게임 스트리밍 경쟁력 제고 시도
③ e스포츠 및 스트리밍 기반 게임플랫폼 기업들은 광고·결제 통합 전략에 집중, 페이팔 등과 연계


엔터 ☁️

① 왓챠는 MAU 50만 이하로 급감하며 완전자본잠식 상태 지속, K-OTT 업계 구조조정 우려 확대
② 웨이브는 MZ 타깃 콘텐츠 확대를 통해 회복 시도 중이나, 티빙과의 합병 회의론 제기
③ 필립모리스는 KT&G와의 경쟁에서 저가 전자담배 전략으로 굿즈·브랜드 마케팅 강화


기타 산업·기업 이슈 ☀️

① 금호석유화학은 어닝서프라이즈 실적을 바탕으로 800억 원 규모의 공모채 발행 추진
② 삼성SDI는 단기차입금 3.5조 원을 상환하며 유동성 부담 완화, 이어 1.7조 원 유상증자 계획
③ CJ푸드빌은 해외 베이커리사업 성과로 부채비율을 1,400%에서 180%로 대폭 축소


M&A 및 경영전략 ☀️

① 센트로이드는 테일러메이드의 경영권 매각을 엑시트 전략으로 검토, JP모간 등과 IPO 병행 협의 중
② 이수화학은 이수건설에 출자하고 자회사 재무건전성 개선을 목표로 함
③ 롯데물산은 물류센터 매각을 통해 유동성 확보를 추진 중이며, 자금난 우려와 맞물려 시장 주목


자금시장·자본조달 ☁️

① 한국서부발전은 순차입금 6조 원 수준에서 1조 원 규모 회사채 조달
② 회사채 시장은 실적 발표와 금리 인하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전월 대비 참여기업 수 급감
③ NH투자증권은 퇴직연금 RA 일임 수익률 선전, ‘라이즈허브’로 사업 확장 중


구조조정·리스크 🌧

① 왓챠는 MAU 50만 이하로 하락하고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지속되며 생존 위기
② SK텔레콤은 대규모 해킹 사태로 가입자 26만 명 이탈, 정보보호 부실 논란 확대
③ MG손해보험은 계약 이전과 가교보험사 설립을 추진하며 사실상 폐업 수순


기타 글로벌 트렌드 ☁️

① 국민연금은 고수익을 추구하며 미국 M7·팔란티어 등 기술주에 대한 저가 매수 진행
② 트럼프 전 대통령은 연준의 금리 정책에 압박을 가하며 물가 안정 주장
③ 금 가격은 하루 만에 1.9% 급락, 유가 및 천연가스 가격도 하락세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